소프트웨어 하드웨어 자산관리 프로그램
기업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등 다양한 사무용 기기와 프로그램들이 사용되고, 정품소프트웨어 사용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은 물론, 현재는 중소기업이나 1인 회사의 경우에도 정품소프트웨어 사용이 당연시되고 있습니다. 물론, 검경이나 사법기관에 의한 저작권위반 단속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고, 저작권사는 이와 별개로 내용증명이나 감사, 조정신청등을 통해 지속적인 정품사용 캠페인을 하고 있는 것도 정품사용율이 높아지고 있는 이유입니다. 하드웨어의 경우 불법사용 자체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지만, 소프트웨어의 경우 웹상에서 크랙버전이나 해적판을 쉽게 다운로드 받아 사용할 수 있는 만큼, 기업내 불법사용율은 여전히 30% 내외를 유지하고 있고, 특히 가격이 비싼 소프트웨어나 상대적으로 가격이 매우 저..
2024. 3. 14.
IP, Mac 주소 등을 통한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 확인
이번 내용은 실질적으로 검경이나, 문체부에 의한 불법소프트웨어 사용 단속이나, 경찰에 의한 불시검문에 의해 불법소프트웨어사용, 즉 저작권위반에 대한 내용이 확인 된 경우가 아닌, IP / Mac 주소등을 통해 불법 소프트웨어 사용에 대한 정황을 확보한 저작권사가 고소고발 하여, 최종 사용자가 패소한 케이스에 대한 포스팅입니다. 수 년전 부터 오토데스크나 지멘스, 마스터캠등 2D/3D CAD, 마이다스와 같은 해석프로그램, 원격제어, 네스PDF 와 같은 제품의 저작권사는 IP추적이나 Mac 주소등을 통해 해당 PC사용자를 특정하고, 해당PC내 사용중인 프로그램이 불법인지 정품인지 여부를 따져, 내용증명이나 감사공문, 조정신청서 등을 보내 정품사용과 구매를 압박하는 방식의 저작권보호활동을 해오고 있습니다. ..
2023. 12. 7.